청소년-부모가족상담사례 다운로드
[목차]
청소년-부모 가족상담 사례
목차
* 청소년-부모 가족상담 사례
* 참고문헌
* 청소년-부모 가족상담 사례
청소년-가족상담자는 먼저 가족체계적 관점으로 가족 내 하위체계를 파악하
고 상담을 진행해 나가야 한다. 상담자는 가족이 제시하는 문제가 가족체계 내
에서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상담 접근의 순서를 정하고 사안에
따라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청하는 연계상담 방법을 모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은 이혼부부의 상담 과정에서 드러난 청소년 자녀와 부모의 문제를 연
계상담으로 다룬 사례이다. 공무원 김 모 씨와 전업주부 이 모 씨는 18년간의
결혼생활을 끝내고 2년 전에 이혼하였다. 이들 사이에는 서울에서 대학에 다니
는 만 스무 살 된 딸과 중학교 2학년인 만 열네 살 된 딸이 있다. 이들은 친권
과 재산권을 두고 소송을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두 사람 사이의 감정의 골은
매우 깊어졌다. 이혼상담 과정에서 남편 김 씨가 한발 양보해 공동 양육권을
주장했지만 아내 쪽이 동의하지 않았다. 결국 친권은 아내에게 주어졌고 이혼
의 귀책사유가 있었던 김 씨에게는 접견권이 주어졌다. 이후 자녀가 아버지와
의 정기적인 만남을 회피하게 되었고 아버지는 이를 부부문제로 인식, 상담을
요청하였다. 이후 상담 진행 과정에서 청소년 자녀와 아버지의 상담을 통해 문
제해결에 이론 사례이다.
1회기: 어머니 개별상담
먼저 이루어진 개별면접 상담에서 아내 이 씨는 전 남편 김 씨가 합의된 양육
비를 제때 지급하지 않거나 턱없이 적은 액수를 주어 곤란을 겪고 있으며 자신
과 자녀를 비하하는 언행을 일삼고 있음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그녀는
남편의 양육권 주장은 자녀에 대한 애정이라기보다는 자녀를 소유물로 여긴 집
착 때문으로 보았다. 그 근거로 서울에 있는 맏딸이 아버지를 다시는 만나고 싶
지 않다고 말해 전 남편이 몹시 상심했던 일을 이야기했다. 그녀는 전 남편 김
씨가 자녀의 욕구나 바람은 뒷전인 채 자기중심적인 행동으로 자녀에게 많은
부담을 지우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혼 전에도 남편은 매우 독단적인 방식으로
자녀들을 대해 집에 친구를 데려오거나 남의 집에 놀러가…(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