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육 학 개 론 39 39 업로드
보육 과제와 전망
보 육 학 개 론
1
보육의 문제점
1.공립 보육시설의 부족
2.보육교사의 열악한 근무환경
3.다양한 보육 서비스의 시설 부족
4.지방자치단체의 보육 공무원 수
부족
1.시설중심에서 아동중심 정책으로 전환
2.국가 차원의 시설 확충 계획 수립
3.공보육 체계강화
4.보육교사의 처우 개선
5.특수보육의 지원확대
6.민간시설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를 통 한 보육의 공공성 제고
7.보육 정책 전달 체계의 활성화
8.보편주의적 보육 정책의 확립
9.육아 휴직 제도의 강화
2
보육의 개선방향
목차
보육의 문제점
참고문헌-보건복지부 2009 보육실태조사결과발표
공보육을 지행하고 있는 국가 정책 기조와는
달리 민간 보육시설에 보육 서비스를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며, 보육을 시장 원리에
맡겨 보육 서비스를 질 관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보육의 문제점
1) 공립 보육시설의 부족
자료: 여성가족부(2005)
전체 수요의
48.1%
보육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못함
보육의 문제점
1) 공립 보육시설의 부족
보육의 문제점
1) 공립 보육시설의 부족
건강 관리
과도한 업무내용
출처- 신희연, 2004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영아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건강상태를 조사한 결과55.6%가‘나빠졌다’고
응답 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이 나빠진 이유로는‘근무시간이 길어서’(65.2%)가 가장 많았고, 적당한 휴식시간이 보장되지 않아서, 교사를 배려한설비가 아니어서, 기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업무내용을 3가지 하위영역 즉, 주 보육관련 업무(13가지), 보육지원 업무(12가지), 운영관리 업무(10가지)에 관련된 총 35개의 문한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교사 업무량의 평균은 17.4가지였다.
보육의 문제점
2) 보육교사의 열악한 근무환경
이러한 환경 속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은 신체적, 정서적으로 건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없으므로 훈련 교육과 더불어 지식과 기술 발휘의 불충분함이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큰 문제점이 된다.
보육의 문제점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