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 Report
 



[목차]
 

1. 지진파 분석

2. 물성치 측정

3. ANSYS 해석

4. 1차 2차 모델링 및 실험

5. 최종 모델링 및 보완

6. 최종 도면

7. 최종 구조물

8. 내역서 및 공정표




지진파 분석 인공지진파 : 국토교통부 건설기준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KDS 41 17 00: 2xxx)에 따른 설계 응답 스펙트럼에 기초
인공지진파 제작을 위한 설계 스펙트럼 주파수 대역 : 0.5Hz ~30Hz
인공지진파 가진 : 상관관계가 0.3 이하인 두 개의 지진파를
수평 2방향(X축, Y축)으로 동시에 가진
인공지진파 가속도 : 최대 가속도 0.2g부터 1.2g까지 가진
유효수평지반가속도 (S) : 유효수평지반가속도는 대회규정에 따른다.
재현주기 500년 : 0.3g
재현주기 2400년 : 0.6g
성능목표
500년 재현주기 : 기능수행, 즉시복구, 장기복구/인명보호 수준 만족
2400년 재현주기 : 붕괴방지 수준 만족
ANSYS APDL 모달 해석 1,2차 해석 고찰
포아송비 : 0.23
(*각층 무게는 밀도를 통해 주었음)
-] 고유진동수를 찾기위해 진행함
스펙트럼 결과를 통해 목표로 한 13Hz 이상의 고유진동수 만족하기 힘들다고 판단
따라서, 내진설계만으로는 0.6G 이상을 버티기 어렵고, 진동을 감쇠할 장치가 필요
힘의 방정식에서 파생되는 고유진동수 공식을 통해 질량을 줄이고 강
성을 높이는 내진설계 방식으로 목표 고유진동수(13Hz) 달성 목표
ANSYS를 통한 모델 해석 결과 1차 및 2차 모델 해석 결과, 주어진 재료
와 내진설계만으로 목표 고유진동수(13Hz)를 달성하기 힘들 것으로 판

제진 플레이트를 활용하여 마찰력을 얻고 감쇠속도(C,V)를 높임으로써
구조체의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결과를 얻음.파괴 원인 분석 : 기둥 강성 부족으로 인한 Core wall 파단
보완점 : ① 각 층 메가칼럼 A4용지 접합하여 강성 강화
② 가새 이중 스트립으로 강성 보강
파괴 원인 분석 : 3,4층 심한 흔들림으로 인해 1층 기둥에 높은 하중 가해짐
보완점 : ① 제진설계를 통해 3,4층 구조물 안정화 작업 (제진 플레이트 고안)
② 하중을 많이 받는 1층 기둥 강성을 높이기 위해 플레이트 덧댐.

 

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pdf 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pdf 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pdf 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pdf 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pdf 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pdf 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pdf 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pdf 구조물 내진설계 설계대회 프로젝트.pd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