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치료의 방법, 유형, 과정 DownLoad
[목차]
1. 인지치료란?
2. 인지치료의 목적
3. 인지치료의 특성
4. 인지치료의 원칙
1) 인지치료는 인지 용어로 내담자의 문제를 사례설계하고 이를 기초로 이루어진다.
2) 인지치료는 건강한 치료적 동맹을 필요로 한다.
3) 인지치료는 상호 협의와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한다.
4) 인지치료는 목표지향적이고 문제 중심적인 치료이다.
5) 인지치료는 지금 여기서의 상황을 강조한다.
6) 인지치료는 교육적이고 환자 자신이 스스로의 치료자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재발방지를 강조한다.
7) 인지치료는 단기적이고 한시적인 치료를 목표로 한다.
8) 인지치료는 구조화된 치료이다.
9) 인지치료는 환자들이 자신의 역기능적 사고와 믿음을 식별하고 평가하며 반응하도록 가르친다.
10) 인지치료는 사고, 기분,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다.
5. 아론 벡의 인지모형
1) 인지삼제
2) 부정적 인지 도식
3) 잘못된 정보처리
6. 인지오류의 종류
1) 자동적 사고
2) 인지적 왜곡
3) 비합리적 신념
7. 인지 치료의 과정
1) 1단계 : 문제사고와 문제감정 이해
2) 2단계 : 자동적 사고 찾기
3) 3단계 : 자동적 사고 논박하기
4) 4단계 : 핵심 신념 찾기
5) 5단계 : 핵심 신념 논박하기
6) 6단계: 변화 유지하기
참고자료
1. 인지치료란?
인지치료는 다양한 정신과적 장애(예: 우울, 불안, 고통, 통증 등)를 다루는데 사용되는 적극적이며 지시적이며, 시간 제한적이고 구조화된 접근이다(아론 T. 벡, 원호택 외 공역, 1999). 인지치료는 개인의 정서와 행동은 주로 그가 세계를 구조화하는 방식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고 있다.
사람들의 인지는 과거 경험으로부터 발전된 어떤 태도나 가정(인지도식)에 기초한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자신의 모든 경험을 자신이 유능한 가 아닌가의 관점에서만 해석한다면, 그의 사고는 “내가 모든 일에 완벽하지 못하고 나는 실패자다”라는 도식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결과적으로 그는 자신의 개인적 능력과 전혀 관계없는 상황에서조차도 능력 혹은 적절성의 관점으로 상황에 반응하게 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