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예방 교육 계획서 자료
[목차]
□ 교육 자료
1. 아동 성폭력의 정의
2. 아동 성폭력에 대한 우리나라 현황 & 사례
□ 교육 후기
6. 아동 성폭력 피해에 대응 방안
아동문제를 유발하는 아동 성학대의 문제는 경제적 불안정, 가족 구조상의 결함, 부모의 아동양욱 기능상의 결함, 아동의 성학대와 방임의 문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아동 성학대와 방임의 문제는 부모가 사회적 규제나 지원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경제적인 문제 등의 이유로 단순하게 설명할 수 없지만 환경적 스트레스와 부모 성격특성의 상호작용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장에서는 아동성폭력 피해에 대한 대책에 대해서 살펴본다.
1) 체계적 대응
아동성폭력에 대한 범사회적 동의가 필요하다. 즉, 성인 이하의 연령 또는 법적으로 아동인 사람에게 어떤 형태로든지 성적 착취를 이행하면 이것은 성학대라는 점에 대해서 사회적으로나 법적으로나 모두 동의된 상태이어야 하며 이에 대해 누구라도 의의를 제의하지 않을 정도로 똑같이 인식되고 동조되어야 한다.
연령에 대한 문제, 특히 법적으로 아동으로 정해진 연령에 대한 철저한 보호의식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 아동성학대 문제를 논하는데 혼돈으로 작용한다. 우리 사회에 소년소녀가장이라는 단어, 원조교제라는 단어가 존재하는 것은 아동연령층은 성인에 의한 보호 대상임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을 증명하는 단어들이다. 성인 연령층이 아동 연령층을 대상으로 성행위를 하는 것은 대체로 성학대라고 한다고 정의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으면 그 발생빈도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