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과 멸균 Up
[목차]
1. 소독의 원리
Ⅱ. 멸균(sterization)
1. 기본개념
2. 기구의 소독 및 멸균방법
적절한 소독과 멸균은 병원감염관리의 중심 요소로서 작용한다. 부적절한 소독과 멸균은 병원감염을 초래하는 한 요인이 될 것이다. 병원 환경에서 시행되는 모든 절차가 무균적이거나 모든 사용 기구들이 멸균적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세척만으로도 가능한 경우가 있다.
기구의 사용 목적이나 진료 상황에 따라서 세척이나 소독, 멸균의 개념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적절하지 못한 소독 방법이 문제가 되지만 또한 과잉의 멸균이나 소독도 비용이나 시간의 낭비, 환경의 오염 등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적절한 소독 방법의 선택이나 올바른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준수하는 것이 병원 환경에서의 감염을 감소시키고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Ⅱ. 소독(Disinfection)
원래 소독과 멸균은 정상적인 생활기능을 가진 미생물에 여러 가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유해작용을 가하여 미생물을 사멸 또는 제거시키거나 발육을 저지시키는 것을 말하며 주로 사람과 동물 및 식물에 있어서 감염방지, 식품 및 일반물품의 부패방지, 각종 공업생산 과정에서 미생물에 의한 오염방지, 연구실에서 균의 순수배양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 살균력의 순서 : 방부 < 소독 < 멸균
1. 소독의 원리
1) 멸균과 소독의 기본개념
① 멸균 : 강한 살균력을 작용시켜 병원균, 미병원균, 아포(포자) 등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조작을 말한다.
② 소독 :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만을 주로 사별 또는 제거시키는 것을 말한다.
③ 소독제 : 표면에 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시키는데 사용되는 화학물질 말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