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아르바이트,지업및가치관의영향,변수의 측정 및 조작화 레폿
대학생 아르바이트 경험이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목차
1. 서론
1 - (1) 문제제기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과정 중에도 업무가 주는 특성이나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아르바이트의 환경이 직업가치관 형성에도 중요한 요인
경제 및 산업구조가 대량생산과 제조업 중심에서 다품종 소량생산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임시직과 시간제 근로 같은 비정규직 일자리가 증가
대학생 아르바이트 보편화
1 (2) 연구배경 및 필요성
아르바이트는 실질적으로 대학생들이 직업적인 체험을 처음으로 경험하는 경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청소년,
비정규직 근무자 중심으로
이루어짐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직업가치관에 대한 연구가 필요
1 (3) 연구목적
아르바이트 직종들에 대해 근무 조건의 향상을 요구할 때 신빙성 있는 자료로 활용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근무 조건이 향상될 수 있는 기회의 토대
2. 이론적 배경
2.- (1) 개념정리
2.이론적 배경-(2) 이론적 배경
2.이론적 배경 (3) 가설 설정
3. 연구방법
3 (1) 연구디자인
독립변수 인위적 조작이 어려움
본 연구의 특성상 실험 연구 시 내적, 외적 타당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큼.
한계점 최소화 노력
- 통제변수들을 설문지에 포함시킴으로써 제 3의 요인의 영향에 의한 결과를 분석
비실험 디자인
3 (2) 대상자 선정
연구모집단인 서울소재의 대학교 학생전체를 대표하기 위해 무작위로 대학을 선정하고, 각 학과별 특성을 고려하여 대학별로 골고루 학과를 선정한다.
군집 샘플링 방식
최종적으로 다시 한번 무작위 추출을 통해 개인을 선정하여 보완한다.
구체적인 대학단위는 서울 소재의 대학 45곳 중 위의 방식으로 무작위 추출된 22곳이며 가나다 순에서 짝수 번을 추출하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톨릭대학교,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광운대학교, 그리스도대학교, 동국대학교, 명지대학교, 상명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세종대학교, 숭실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 홍익대학교
3 (3) 변수의 측정 및 조작화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