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현장 실습 종결 보고서 - 최종 평가서 DownLoad
[목차]
7. 사회복지사로서 실습생 자신의 장·단점에 대한 평가
8. 실습지도에 대한 평가
9. 기관 이해도에 대한 평가
10. 실습 기간 중 가장 유익했던 내용
11. 실습기간 중 가장 안 좋았던 내용
12. 실습 기관, 실습 지도자, 대학에 대한 건의사항
13. 기타 하고 싶은 말
3. 실습목표에 대한 평가
1) 구체적이고 적절한 목표 설정 여부
처음에는 단순히‘느낀다. 생각한다.’라는 광범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 방법에 대한 내용을 몰랐는데 3~4번 수정하는 과정에서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그에 따른 평가 방법에 대해 작성하면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목표설정 여부를 판단 할 수 있게 되었다.
2) 목표의 달성 여부
⋅상위목표 : 사회복지란 무엇이며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서 배우고 느낀다.(90%)
⋅하위목표 - 종합사회복지관의 실정을 눈으로 보고 복지와 재가 분야에 대한 현장 경험을 한다.
⇒ ·종합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강의로 사회복지에 대한 전반인 숙지가 되었다. 사회복지사에 대해서는 분야별 각 강의 시간에 사회복지사들의 실전 경험을 들으면서 일차적으로 느낄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그리고 현장 체험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담당 슈퍼바이저의 피드백과 슈퍼비전을 받았다.
⋅상위목표 : 복지관 사업 중 아동복지분양 대한 이해를 한다.(80%)
⋅하위목표 - 아동복지 사업의 운영체계를 알고 프로그램 진행 절차에 대해 이해 할 수 있다.
⇒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에 옮겼지만 프로그램 의도가 사회복지적인 방향으로 흐르지 않았다는 점이 아쉽다. 하지만 슈퍼바이저의 객관적인 평가와 동료 슈퍼비전을 받았다는 점에서 만족한다.
⋅상위목표 :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자질 함양을 위해 효율적인 현장 경험을 한다.(90%)
⋅하위목표 - 동료 실습생들과 대인관계에 대한 유연성과 적극성을 키운다.
⇒ 동료 실습생들과 실습을 함께 하면서 서로 잘못된 점은 지적해주고 잘한 점은 칭찬해주면서 실습 의욕을 북돋아 주었고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슈퍼비전도 주고받았다. 복지관과 관계된 사람들, 그리고 여…(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