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간호의 역사 DownLoad
[목차]
목차>
3. 근대와 간호
(1) 16,17세기의 간호
·신 중심의 사회에서 인간 중심의 사회로 전환 (종교개혁) 종교적 의료 → 과학적 의료
·의학의 발달 : 기존의 갈렌 중심의 해부학을 비판 베사리우스의 인체구조론 대두
파레, 챔버렌, 등 (파라셀서스 ⇒ 갈렌의 해부학 불태움)
·간호의 암흑기 : 카톨릭의 세력이 약화되면서 수도원 중심의 의료가 위축되고 일반인들에 의해 병원이 운영되면서 우수한 간호요원 유치가 불가능→간호의 질이 저하
·자선사업“(ex)메리방문간호단)과 간호사업이 신교도 중심으로 새롭게 전개→국가 차원의 구제사업과 구민법이 제정(영국, 엘리자베서 1세)
↘ (1601년, 빈민구제는 국가의 의무이다)
(2) 18,19세기의 간혼
·의학의 발달과 함께 간호 재구성.
·휠체어, 특수식기. 디지털리스 개발
·의학실무와 의학교육에 지도자가 나타나고, 진단적 기구가 개발
·의학의 발달과 업적:
- 파라셀서스 - 수은을 이용해서 매독 치료
- 베살리우스 - 해부학을 외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조직학적 연구
- 팔로피오 - 해부학자 난관을 발견 fallopian이라는 이름을 붙임.
- 파레 - 혈관 결찰술
- 리스터 - 무균술
- 파스퇴르, 코호 - 세균의 연구 및 전염병 예방
- 뢴트겐 - X-ray를 발견 진단에 큰 변혁을 가져옴
- 플레밍 - 페니실린 발견, 세균의 발육성장을 억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