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증의 이해와 자폐아 가족이 겪는 문제점 및 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자료
[목차]
행동개선의 과정에 있어서 감각조정, 반사통합, 운동협조라는 것 같은 측면보다는 먼저 감정표현, 요구표현, 대인관계의 개선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동 개개의 부분을 분석적으로 받아들이는 동시에 항상 아동을 전체적으로 파악함.
5. 자폐아 가족이 겪는 다양한 문제점
1) 장애가족의 특성
우리나라와 같이 장애자를 위한 복지가 발달되지 않은 나라에서 장애를 가진 구성원의 장애 유형, 장애의 원인, 장애의 정도, 장애의 출현시기, 장애에 대처할 수 있는 가족의 지원 등에 따라 다르나 여러 조사결과에 의하면 전체 장애 가족의 50%이상이 장애인으로 인한 가족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폐아동을 둔 부부는 자녀의 장애를 확인한 순간부터 자녀를 거부하고, 죄책감 및 자책감 을 가지기도 하고 이러한 정서상태를 배우자에게 투사하기도 한다. 또는 다른 가족성원의 생활과 욕구를 유보하면서까지 장애를 지닌 자녀에 대해 과잉집착을 보이기도 한다. 또 자폐아동을 의식해서 일상적인 생활에 스스로 제한을 두어 오락, 외출 , 취미생활을 스스로 삼가는 고립현상을 보이게 된다.
자폐아동 가족은 일반 가족에 비해 어렵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장애인인 가족성원을 보호하고 재활하는 과정에서 신체적, 심리적 및 경제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기 쉽고, 이런 스트레스가 해결되지 않을 때 가족은 긴장하고 갈등을 느끼며 심한 경우에는 가족해체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자페아동이 보이는 대인관계기피 증상으로 인해 가족 또한 폐쇄적인 성격을 드러낼 수도 있다.
생활 주기 단계에서 부모와 형제들이 겪을 수 있는 문제들을 개략하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