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단군을 바라보는 시선,단군릉,역사적 접근,문학적 접근,단군신화 기록문헌,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비교 자료
단군
민족의 시조
단군 할아버지
우상숭배
단군신화와 단군을 바라보는 시선
완전한 사실로 인식
단군을 실존 인물로 보고 숭배하는 입장
단군릉
단군신화와 단군을 바라보는 시선
쓰다 소우키치(津田左右吉)
조선사 편수회
실증사학
완전한 허구로 인식
단군신화의 가치를 부정
단군신화와 단군을 바라보는 시선
단군신화를 이해하는 방법
사실 or 허구
(X)
-`역사적 접근
-`문학적 접근
`해석의 중요성`
사실과 허구의 이분법에서 벗어나기
vs
단군신화 기록문헌
`삼국유사`
`제왕운기`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비교
공통점 : 한국사의 시작을 고조선으로 봄
단군의 개국 시기가 요 임금과 같다는 점
단군이 산신이 된다는 점(신성한 존재임을 부각)
고조선 이후 왕조들이 단군에 뿌리를 둔다고 한 점
차이점 : 단군의 표기
단군의 계보
개국연대
기자와의 관계
단군의 후손 범위
최고最古의 문헌
역사서 vs 역사시
인용지수
삼국유사 채택 이유
`삼국유사`
① 천신 환인의 아들 환웅이 천상으로부터 태백산 신단수 아래로 내려와 신시를 건설하고, 풍백, 우사, 운사를 거느리고 신정을 펼침
② 곰과 호랑이가 환웅에게 인간이 되게 해달라고 기원했고, 환웅의 지시를 충실히 따른 곰이 인간 여자(=웅녀)로 변신에 성공함.
③ 환웅과 웅녀가 혼인하여 단군왕검을 낳음.
④ 단군왕검은 중국의 요 임금 50년 평양성에서 조선을 건국했고, 후에 도읍을 백악산 아사달로 옮김(『위서(魏書』에서는 처음 도읍한 곳을 아사달이라 했음)
⑤ 재위 1,500년 경, 중국에서 기자가 옴에 따라 장당경으로 천도함.
⑥ 단군은 후에 아사달에 들어가 산신이 되었는데, 인간으로서의 수명은 1,908세였음.
⑦ 단군은 서하 하백의 딸과 혼인하여 부루를 낳음.
⑧ 단군은 고구려 시조 주몽을 낳음.
`삼국유사`
삼국유사 속 단군신화
단군신화에 대한 역사적 접근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는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상호작용의 계속적인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역사란 무엇인가
`Edward. H. Carr`
-` 역…(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