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서원의 성격변화와 문중서원 - 연구사 점검과 연구시각을 중심으로 자료
[목차]
그리하여 그 전체적인 성격에서 일반 서원과는 엄밀히 구분될 필요가 있다. 즉 「문중서원」은 (1)건립의 유서나 동기에서 문중의 기반, 이해를 기초로 하고 (2)건립과정상 제향인의 성격과 제향시기가 바로 문중의 성장과정이나 이해와 연계되어, 제향인은 원조나 입향조‧현조‧충절인을 비롯한 문중 배출인물이 선정되며, 제향시기도 주도 후손의 활동이나 선조의 포장, 추숭과정과 연계된다. 그리고 (3)서원의 조직과 운영, 활동의 내용이 문중집단에 의한, 문중집단을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일반서원과는 변별된다.
2. 향촌지배구조의 변화와 「문중」활동
대체적으로 16-17세기의 재지사족들은 ‘향안’에 입록된 대표집단을 중심으로 향회를 운영하므로서 향촌사회의 여론을 주도하고 이를 통해 자신들의 이해를 관철시킬 수 있었고, 이같은 향촌운영체제는 조선시기 사족지배구조의 가장 핵심적인 모습이었다. 그런데 이같은 재지사족의 향촌지배는 17세기 중엽이후 양반권위의 축소와 자체 분열현상으로 점차 위축되었다.
조선전기의 토향적인 성격이 강했던 토성사족들중 많은 세력들이 양란의 과정에서 기반을 상실하기도 했을 뿐 아니라, 그 복구의 과정에서 성씨들간의 이해관계나 갈등, 나아가서는 조선전기에 세족과 사족의 분기 조짐이 있었던 지역의 경우 그 오랜 앙금도 표출될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하여 양란이후 새롭게 부상한 신흥 가문이나 상대적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룬 신향세력들의 향촌지배질서에의 참여는, 종래에 기득권과 전통성을 지니면서 연대적인 이해를 반영하던 기존의 향안질서 자체의 유지를 어렵게 만들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