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과는 85결에서 65결로, 녹읍(녹읍) 2) 역분전(역분전)의 설치 (2) 전시과의 제정과 토지지배의 제유형(■유형) 1) 시정전시과(시정전시과) 2) 개정전시과(개정전시과) 3) 개정전시과(개정전시과) 4) 공음전시(공음전시) 5) 한인전(한인전), 18과는 20결에서 17과로 감소하였다..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zip [목차] 1. 그리고 산직(산직)과 향직(향직)에 대한 토지지급이 보이지 않는 점도 주목할 사실이라 하겠다.hwp.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문서 (Down). 전시과 체제하의 지방제도 (1)건국 직후의 전시과 제도 1) 내장(내장), 식읍(식읍), 18과에는 한인(한인) 잡류(잡류)가 속하며 전지 17결을 받고 시지는 지급받지 못하였다.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 , 다른 무반도 모두 과가 상승하였다. 이는 오랫동안 거란과 전쟁하면서 무관의 지위가 상승하였기 때문이었다.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1과의 경우 목종대 ......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문서 (Down).zip
[목차]
1. 전시과 체제하의 지방제도
(1)건국 직후의 전시과 제도
1) 내장(내장), 식읍(식읍), 녹읍(녹읍)
2) 역분전(역분전)의 설치
(2) 전시과의 제정과 토지지배의 제유형(■유형)
1) 시정전시과(시정전시과)
2) 개정전시과(개정전시과)
3) 개정전시과(개정전시과)
4) 공음전시(공음전시)
5) 한인전(한인전), 구분전(구분전)
6) 외역전(외역전)
7) 군인전(군인전)
8) 궁원전(궁원전)
9) 사원전(사원전)
10) 왕실어요지(왕실어요지)
11) 민전
15) 식읍제도의 발전
(3) 전시과체제하의 토지지배관계(토지지배관계)에 수반된 제문제(제문제)
1) 공전, 사전과 그 문제
2) 토지와 국가재정(국가재정)
3) 균전제(균전제)의 시행여부(시행여부)
Ⅱ. 결론
덕종 3년에 개편된 전시과는 그 후 문종(문종) 30년에 이르러 또다시 전면적인 재편성을 보게 되었다.
1과에는 중서령(중서령) 상서령(상서령) 문하시중(문하시중)이 속하며 전지 100결 시지 50결을 받았으며, 18과에는 한인(한인) 잡류(잡류)가 속하며 전지 17결을 받고 시지는 지급받지 못하였다. 경정신시과는 목종대의 개정전시과에 비해 여러가지 상이한 점이 보이는데, 우선 주목되는 점은 분급되는 전시의 규모가 감소했다는 것이다. 1과의 경우 목종대 170결(전지 100결 시지 70결)에서 150결로, 2과는 160결에서 135결로, 10과는 85결에서 65결로, 18과는 20결에서 17과로 감소하였다. 무반(무반)에 대한 대우는 크게 향상되어 상장군의 경우 목종대 5과(130결)에서 3과로 올랐고, 대장군의 경우는 6과에서 4과로 올랐으며, 다른 무반도 모두 과가 상승하였다. 이는 오랫동안 거란과 전쟁하면서 무관의 지위가 상승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산직(산직)과 향직(향직)에 대한 토지지급이 보이지 않는 점도 주목할 사실이라 하겠다.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NI 전시과 NI 고려시대 제도 제도 NI 제도 자료 전시과 고려시대 자료 전시과 자료 고려시대
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이는 오랫동안 거란과 전쟁하면서 무관의 지위가 상승하였기 때문이었 결론 덕종 3년에 개편된 전시과는 그 후 문종(문종) 30년에 이르러 또다시 전면적인 재편성을 보게 되었다.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그리고 산직(산직)과 향직(향직)에 대한 토지지급이 보이지 않는 점도 주목할 사실이라 하겠다.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문서 (Down).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 1과에는 중서령(중서령) 상서령(상서령) 문하시중(문하시중)이 속하며 전지 100결 시지 50결을 받았으며, 18과에는 한인(한인) 잡류(잡류)가 속하며 전지 17결을 받고 시지는 지급받지 못하였다.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 전시과 체제하의 지방제도 (1)건국 직후의 전시과 제도 1) 내장(내장), 식읍(식읍), 녹읍(녹읍) 2) 역분전(역분전)의 설치 (2) 전시과의 제정과 토지지배의 제유형(■유형) 1) 시정전시과(시정전시과) 2) 개정전시과(개정전시과) 3) 개정전시과(개정전시과) 4) 공음전시(공음전시) 5) 한인전(한인전), 구분전(구분전) 6) 외역전(외역전) 7) 군인전(군인전) 8) 궁원전(궁원전) 9) 사원전(사원전) 10) 왕실어요지(왕실어요지) 11) 민전 15) 식읍제도의 발전 (3) 전시과체제하의 토지지배관계(토지지배관계)에 수반된 제문제(제문제) 1) 공전, 사전과 그 문제 2) 토지와 국가재정(국가재정) 3) 균전제(균전제)의 시행여부(시행여부) Ⅱ.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 경정신시과는 목종대의 개정전시과에 비해 여러가지 상이한 점이 보이는데, 우선 주목되는 점은 분급되는 전시의 규모가 감소했다는 것이다. 1과의 경우 목종대 170결(전지 100결 시지 70결)에서 150결로, 2과는 160결에서 135결로, 10과는 85결에서 65결로, 18과는 20결에서 17과로 감소하였다.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전시과 체제하의 지방제도 (1)건국 직후의 전시과 제도 1) 내장(내장), 식읍(식읍), 녹읍(녹읍) 2) 역분전(역분전)의 설치 (2) 전시과의 제정과 토지지배의 제유형(■유형) 1) 시정전시과(시정전시과) 2) 개정전시과(개정전시과) 3) 개정전시과(개정전시과) 4) 공음전시(공음전시) 5) 한인전(한인전), 구분전(구분전) 6) 외역전(외역전) 7) 군인전(군인전) 8) 궁원전(궁원전) 9) 사원전(사원전) 10) 왕실어요지(왕실어요지) 11) 민전 15) 식읍제도의 발전 (3) 전시과체제하의 토지지배관계(토지지배관계)에 수반된 제문제(제문제) 1) 공전, 사전과 그 문제 2) 토지와 국가재정(국가재정) 3) 균전제(균전제)의 시행여부(시행여부) Ⅱ.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1과의 경우 목종대 170결(전지 100결 시지 70결)에서 150결로, 2과는 160결에서 135결로, 10과는 85결에서 65결로, 18과는 20결에서 17과로 감소하였다.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hwp.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경정신시과는 목종대의 개정전시과에 비해 여러가지 상이한 점이 보이는데, 우선 주목되는 점은 분급되는 전시의 규모가 감소했다는 것이다.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그리고 산직(산직)과 향직(향직)에 대한 토지지급이 보이지 않는 점도 주목할 사실이라 하겠다..hwp 문서 (Down).zip [목차] 1.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zip [목차] 1. 무반(무반)에 대한 대우는 크게 향상되어 상장군의 경우 목종대 5과(130결)에서 3과로 올랐고, 대장군의 경우는 6과에서 4과로 올랐으며, 다른 무반도 모두 과가 상승하였다.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 이는 오랫동안 거란과 전쟁하면서 무관의 지위가 상승하였기 때문이었.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hwp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무반(무반)에 대한 대우는 크게 향상되어 상장군의 경우 목종대 5과(130결)에서 3과로 올랐고, 대장군의 경우는 6과에서 4과로 올랐으며, 다른 무반도 모두 과가 상승하였다. 고려시대 전시과 제도 자료 BA . 결론 덕종 3년에 개편된 전시과는 그 후 문종(문종) 30년에 이르러 또다시 전면적인 재편성을 보게 되었다. 1과에는 중서령(중서령) 상서령(상서령) 문하시중(문하시중)이 속하며 전지 100결 시지 50결을 받았으며, 18과에는 한인(한인) 잡류(잡류)가 속하며 전지 17결을 받고 시지는 지급받지 못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