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판탈출증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보고서
[목차]
*참고문헌* -13p
1. 연구목적
많은 사람들이 한번쯤 허리의 통증을 느껴보았을 것이다. 자신이 잘못된 자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그것은 고쳐지기 힘들고, 많은 활동을 하면서 충격을 받게 되어 고통을 느끼는 것이 빈번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자리에 많이 앉아있고 한참 격한 활동을 하는 20대, 열심히 일하시는 직장인 30대에서 많이 발생한다. 우리는 활발한 20대이자 열심히 일하는 20대이다. 이 컨퍼런스를 통해 추간판탈출증이라는 병에 대해 알고, 예방하자는 의미에서 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1) 정의
충격이 가해질 때 완충작용을 해주고, 허리를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뼈와 뼈 사이에 있는 물렁물렁한 추간판(disc)을 뒤에서 받치고 있는 인대 조직이 퇴행성변화에 의해 섬유륜의 내측 또는 외측 섬유가 파열된 틈으로 탈출된 수핵의 일부 또는 전부가 그 후방에 위치한 신경근이나 척수의 경막을 압박하여 일어나는 요통과 신경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
2) 원인
① 허리에 심한 충격을 받게 될 때 (무거운 물건을 들 때, 갑작스런 자세의 변동 등)
② 나쁜 자세로 장시간 앉아 있을 때 (장기간의 무리한 자세)
③ 운동 부족으로 인한 허리근육 약화
④ 늘어난 체중으로 약해진 추간판
⑤ 과도한 스트레스
⑥ 흡연
⑦ 퇴행성 변화
⑧ 몸 크기지수(body mass index)가 큰 사람
⑨ 운전기사
⑩ 진동
⑪ 임신경력
⑫ 평균 신장보다 큰 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