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운동 다운로드
[목차]
그리고 `지역복지란 지역주민의 생존(생명. 생활)을 위해 공적·사적인 기관이 협동하고 조직화하여 생활환경과 복지환경을 개선하는 사회적 시책 및 방법의 체계`라고 정의하며, 또한 `지역사회복지운동이란 지역사회주민의 생명과 생활(생존)에 대한 복지욕구를 해결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개인 및 공적 사적 집단과 기관들이 협동하여 지역사회의 자원을 동원하고 조직화하여 생활환경과 복지환경을 개선 개혁하는 지역조직운동`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지역복지이론에 기초한 조직화기능으로서 자원봉사활동과 복지화기능으로서 소지역협의회 운동이 통합적으로 실천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우리 나라의 지역사회복지운동의 방향이 구조로서 협의체와 기능으로서 봉사활동이 통합적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과제는 자원봉사활동과 지역협의회의 구성에 있다.
또 지역사회복지를 위해 지역사회복지운동의 목적, 목표, 조직, 운영, 사업, 기능을 복지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하겠다. 즉 지역사회복지의 핵심은 자원봉사활동과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조직 및 지역공동모금운동이 될 것이다. 이러한 봉사운동와 조직운동과 모금운동이 앞으로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기본과제로 보고 지역복지운동의 방향도 주민참여에 의한 자원봉사운동의 활성화,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운영, 지역공동모금의 활성화에 기본 목적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Ⅱ. 우리 나라 사회복지운동의 현황
우리 나라의 사회복지운동은 보건의료운동, 장애운동, 공동육아운동 등 적극적인 실천운동을 하고 있고 국민의료보장 쟁취를 위한 운동, 사회복지 예산확보 투쟁운동 등이 간헐적으로 일어났었다. 문제는 이러한 운동들이 단기적인 문제제기에 머물러 버리고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였으며, 유사한 목적을 가진 여러 부문운동과의 연대투쟁으로 활발히 이어지지 못하였다는 데 있다.
더욱이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각 민간단체들을 중심으로 바른 삶 실천운동(YWCA) , 공해추방운동(주부클럽연합회, 공해추방운동연합회), 경제정의실천운동(경제정의실천연합회) 등의 사회운동이 이루어졌…(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