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통신언어의 특징과 나아갈 방향 Report
[목차]
통신언어의 특징 우선 통신언어에는 송신자와 수신자가 서로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을 하므로 표정이나 동작이 들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통신언어는 시각적인 형태이므로 우리가 의사소통을 할 때 고려하는 말의 높낮이, 빠르기, 성량, 음색이 드러나지 않는다. 또한 익명성을 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무책임하게 비속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은어나 방언들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다. 또한 신속하게 주고 받다 보니 띄어쓰기도 무시되고, 표준말이 아닌 줄인 말과 은어의 사용이 급속하게 늘고 있고, 발음 그대로 쓰는 경우도 많이 있다. 최근 우리에게 나타난 가장 큰 변화 가운데 하나는 통신수단의 다양화이다. 특히 컴퓨터 사용과 인터넷 사용인구는 세계에서 수위를 차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통신언어의 사용이 높아 있고 있다. 통신언어는 현대 젊은 세대들의 문화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문화적인 요소를 가짐과 동시에 통신상에서 통용되는 언어라는 점에서 언어 규범적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