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아동발달 연구에 영향을 준 철학자 중 로크와 루소에 대해 이들의 철학 및 교육사상2 Down
교육에 관한 글을 쓴 사람 중에 루소만큼 사람들의 시비의 대상이 된 사람도 드물다. 그에 대한 비난의 첫째 이유는 물론 그의 기아사건을 으뜸으로 꼽는다. 제 아이들도 기르지 못한 주제에 누구보고 아이교육을 이래라 저래라 하느냐는 것이다. 게다가 그 자신이 정식 학교교육도 한번도 받아 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젊었을 때 잠시 얻은 교사 경험도 실패였다고 한다면 그의 교육적 발언은 그것이 얼마만큼 심각한 것이든 그는 이미 무자격자인 것이다.
루소에 대한 두 번째 비난은 그의 독창성에 대한 것이다. 그의 광범위한 인간문제에 대한 관심, 즉 학문 예술에 대한 비판이나 사회개혁, 교육개혁에 쏟은 정열과 예지, 도덕. 종교 등에 관한 혁신적인 사상이 루소 자신의 것이라고 하는 데 대한 논쟁이 그것이다. 루소와 동시대의 사상가들, 엘베시우스. 볼테크의 저서에서도 루소의 주장이 편편히 명시되어 있으며 특히 몽테뉴의 사상을 연구한 사람은 루소의 작품을 오직 몽테뉴의 주석서라고까지 평한다. 누구보다도 루소를 정면으로 타도하려는 볼테크는 루소는 기억할 만한 가치조차 없다는 식으로 그의 존재를 무로 돌리려 했으나 이 백년 이상이 지난 오늘날까지 루소는 잊혀지지 않고 있다. 루소에 대한 세 번째 비난은 그의 사상의 다양성 또는 모순 분열에 있다고 본다. 대개 사상가들의 주장은 하나의 틀 속에서 무리 없이 정리되어 소위 하나의 질서정연한 이론적 통일을 이룬다. 비록 연구의 대상이 시간과 상황에 따라 달리 논의될 수 밖에 없다 해도 같은 맥락에서 사상적 명료성, 통일성을 기본으로 한다. 그런데 루소는 그와 같은 공식을 무시한다. 그의 철학, 정치학, 문학, 교육학, 윤리 종교의 영역의 잡다한 주장에서 과연 무엇이 그의 중심적인 개념인지 알 수 없다. 그야말로 이것은 파게가 지적하듯이 ‘명석한 개념들의 혼돈’이 아닐 수 없다.
이제부터 우리는 이러한 루소의 자연교육사상에 대해 이야기하려 한다.
1.어린이의 개념
에밀을 가리켜 어린이의 발견서, 혹은 루소를 어린이의 발견자라고 하는데는 연구자에 따라 다소의 시각의 차이를 보여준다. 루소의 교육사상을 살펴보기에 앞서 세상의 아동관에 끼친 루소의 영향을 살펴보자. 많은 연구자들은 에밀의 서문에서 ‘사람들은 어린이를 전혀 알지 못한다.’라고 한 루소 자신의 말에 동조하여 루소야말로 어린이의 위치를 찾아낸 최…(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